google-site-verification=RTLOu7yadN7oUG9FLUTQm8Prgxd_JxvqhAI-GEX2qQ8

자린고비 이야기 모음 :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3


자린고비 이야기 개요

지나치게 검소한 사람을 구두쇠, 수전노, 자린고비라고 낮잡아 부르곤 한다. 자린고비 이야기는 살면서 천장에 매달아 놓은 굴비 이야기로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것이다. 사실 자린고비라는 말이 어떻게 해서 생겨난 말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가장 유력한 추정으로는 실존인물인 조륵(趙玏 1649 ~ 1714) 선생의 자린고비 모델설이 있다.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조륵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는 지독한 구두쇠로서 큰 재산을 모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느 해 마을 전체에 큰 가뭄이 들어 마을사람들이 근심을 하자, 자신의 재산을 모두 마을 사람들의 끼니를 해결하는 데에 써버렸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조륵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선행을 기리며 ‘자인고비(慈仁考碑, 어버이 같이 인자한 사람을 위한 비석이라는 의미)라는 비석을 그의 무덤에 세워 주었다고 한다. 그저 인색하기만 하고 베풀 줄 모르는 사람을 우리는 보통 구두쇠라고 한다. 하지만 타인에게는 넉넉히 베푸는 사람은 자린고비라고 해야겠다. 그러면 자린고비 영감이 얼마나 구두쇠였는지 그의 일화들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지나치게 검소한 사람을 구두쇠, 수전노, 자린고비라고 낮잡아 부르곤 한다. 살면서 자린고비 이야기는 천장에 매달아 놓은 굴비 이야기로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것이다. 사실 자린고비라는 말이 어떻게 해서 생겨난 말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가장 유력한 추정으로는 실존인물인 조륵(趙玏 1649 ~ 1714) 선생의 자린고비 모델설이 있다.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조륵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그는 지독한 구두쇠로서 큰 재산을 모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느 해 마을 전체에 큰 가뭄이 들어 마을사람들이 근심을 하자, 자신의 재산을 모두 마을 사람들의 끼니를 해결하는 데에 써버렸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조륵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선행을 기리며 ‘자인고비(慈仁考碑, 어버이 같이 인자한 사람을 위한 비석이라는 의미)라는 비석을 그의 무덤에 세워 주었다고 한다. 그저 인색하기만 하고 베풀 줄 모르는 사람을 우리는 보통 구두쇠라고 한다. 하지만 타인에게는 넉넉히 베푸는 사람은 자린고비라고 해야겠다. 그러면 자린고비 영감이 얼마나 구두쇠였는지 그의 일화들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천장에 생선 한 마리
천장에 매달린 생선



첫 번째 자린고비 이야기

어느 날 자린고비와 그의 가족들이 식사를 할 때의 일이다. 보통의 가족들은 생선을 밥과 함께 먹으며 식사를 하지만, 자린고비 영감은 천장에 생선 한 마리를 매달아 놓았다. 그에게 생선은 비싼 음식이라 먹어 없애기에는 아까웠던 것이었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말했다.
“밥을 한 술 뜨고 생선을 한 번 쳐다보거라. 그러면 짠맛이 느껴질 게다!”
식구들은 그의 말대로 밥을 먹으며 굴비를 한 번씩 처다보았다. 그런데 어느 날, 아들이 밥을 입에 넣고 굴비를 두 번이나 쳐다봤다. 이를 본 자린고비 영감의 아내가 깜짝 놀라 소리쳤다.
“아들아! 굴비를 두 번씩이나 보면 어떡하느냐? 짜지도 않느냐?”

자린고비의 아내는 아들을 나무랐다. 그러자 자린고비가 아내를 만류하며 말했다.
“여보, 오늘은 그의 생일이잖소. 오늘은 봐 줍시다.”


두 번째 자린고비 이야기

한 날은 자린고비 영감이 장독에서 된장을 한 숟가락 퍼다가 그릇에 담아 놓았다. 그때 어디선가 파리 한 마리가 날아와 된장 위에 살짝 앉았다가 이내 날아가 버렸다. 자린고비 영감은 깜짝 놀라며 소리쳤다.
“이런, 파리가 내 된장을 가져가는구나! 저걸 그냥 두면 안 되지!”

그는 파리를 쫓아 달리기 시작했어요. 산을 넘고 강을 건너 마침내 파리를 붙잡았다.
“잡았다, 이 도둑놈!” 그러고는 게걸스럽게 파리의 발을 핥았다고 한다.


세 번째 자린고비 이야기

세 번째 자린 고비이야기
*소금에 절여진 생선

또 어느 날이었다. 자린고비 영감의 며느리가 시장에 생선을 사러 갔다.
“이 생선은 얼마인가요?”
그녀는 생선을 만지면서 이곳저곳을 살피며 물었다.
“두 냥만 주십쇼.” 생선 장수가 말했다.

그녀는 고개를 가로저으며 집으로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솥에 든 물에 손을 씻고 그 물을 끓여서 국을 끓였다. 식사 시간, 시어머니가 국을 한 숟갈 떠서 맛보더니 감탄했다.
“오늘 국물에서는 고기 냄새가 나는구나!”

칭찬을 들은 며느리는 기쁜 마음에 대답했다.
“네, 제가 고기를 만진 손을 씻은 물로 국을 끓였어요!”

그러자 시어머니는 깜짝 놀라며 말했다.
“어머나! 그 손을 장독에서 씻었으면 일주일간 생선국을 먹었을 텐데…”

옆에서 듣고 있던 자린고비 영감은 한술 더 뜨며 말했다.
“휴우, 그 손을 우물에서 씻었으면 온 동네 사람들이 평생 생선국을 먹을 수 있었겠구나!”


네 번째 자린고비 이야기

부채 살이 깨끗한 부채를 가진 자린고비
*자린고비의 부채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어느 여름날 건너 마을에 자린고비 못지 않은 지독한 구두쇠가 어느 날 자린고비 영감을 찾아왔다. 그는 대뜸 자신과 자린고비 중 누가 더 지독한 구두쇠인지 한번 겨루어 보자고 제안했다. 그가 먼저 말을 꺼냈다.
“자린고비 영감님, 제가 사용하는 부채를 보십시오. 부채 살에 붙어 있던 종이는 전부 닳아 없어지고 부채의 살만 앙상하게 남아 있지요.”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있던 자린고비 영감은 옅은 미소를 띠며 말했다.
“자네는 아직 멀었네. 자, 내 부채를 한 번 봐. 내 것은 새것과 같이 깨끗해. 왜인 줄 아나?”

자린고비 영감은 자신의 얼굴 앞에 부채를 갖다 대고 고개를 좌우로 빠르게 흔들어 대면서 말을 이어갔다.
“이렇게 부채 대신 고개를 흔들면 부채가 닳지 않는다네.”



다섯 번째 자린고비 이야기


그날 밤 이웃집 구두쇠 영감과 함께 잠을 자던 자린고비 영감이 한밤중에 오한을 느껴 깨고 말았다.
자세히 보니 방문의 문풍지에 누구의 소행인지 모를 구멍이 커다랗게 뚫어져 있었던 것이었다.
그는 옆에 나뒹굴던 부채의 살에 붙은 종이를 조금 뜯어서 밥풀로 구멍을 메웠다.
다음날이 되자 이웃집 구두쇠는 자린고비 영감이 문풍지 구멍을 자신의 부채살에 조금 붙어 있었던 종이로 메운 것을 눈치 챘다.
“영감님, 문풍지 구멍에 있는 종이는 제것이 아닙니까? 이 종이는 제가 떼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평소 남의 물건을 결코 탐하는 법이 없었던 자린고비였던지라 종이를 내어줄 수 밖에 없었다.

며칠이 지나 이웃집 구두쇠 영감은 집으로 돌아가서 있는데 느닷없이 자린고비 영감이 집으로 들이닥쳤다.
“이보게, 종이는 자네 것이지만 종이에 붙은 밥풀은 우리집 꺼라네. 어서 내어주게.”

그렇게 종이 조각에 붙어있던 밥풀을 칼로 박박 긁어서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웃집 구두쇠 영감은 자신의 패배를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제이든이 들려주는 <금도끼 은도끼> 보러가기
✨제이든이 들려주는 <혹부리영감> 보러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