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RTLOu7yadN7oUG9FLUTQm8Prgxd_JxvqhAI-GEX2qQ8

에밀레종(성덕대왕신종)의 전설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4

에밀레종(성덕대왕신종)의 전설 신라 혜공왕은 자신의 할아버지인 성덕왕을 기리기 위한 종을 만드는 일에 몰두하고 있었다. 어느날 혜공왕은 경주에 위치한 봉덕사로 찾아가서 승려들에게 말했다.“내가 죽기 전에 성덕대왕(자신의 할아버지)을 기념할 종을 완성해야 하오. 그것은 내 아버지 경덕왕의 유업이오. 부디 경들은 크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을 만들어주시오.” 봉덕사 스님들은 종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훌륭한 종을 만들기 위한 자금이 턱없이 부족한 … 더 읽기

조계사(曹溪寺) 뜻과 주요건물들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4

조계사 뜻 역사적으로 한국의 불교는 보통 중국을 거쳐서 들어왔기 때문에 중국에 있는 불교 종파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왔다. 하지만 조계종의 경우에는 중국에는 없는 종파이다. 조계종은 선종(쉽게 말해 불가의 경전을 연구를 중시하는 교종과 달리 참선과 같은 수행을 더 중요시하여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종파)의 종파 중 하나이다. 그리고 조계사라는 이름은 중국 선종의 유명한 스님인 혜능대사가 40여년간 보림사라는 절에서 … 더 읽기

경복궁 주요 건물들 소개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2

근정전 앞 조정 위에서 노는 사람들

조선의 이궁들(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과는 달리 법궁(으뜸이 되는 궁)인 경복궁은 두 가지의 큰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광화문(光化門) 광화문은 경복궁의 정문(正門)입니다. 창경궁의 홍화문을 제외한 조선 궁궐들의 정문은 일반적으로 남쪽에 위치합니다. 풍수지리(風水地理)와 관련하여 남향의 정문은 양기운을 안으로 들인다 하여, 궁이나 사찰에서는 남쪽으로 정문을 내는 것이죠. 광화문 역시 경복궁의 정문이므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광화문은 3개의 아치형의 문과 … 더 읽기

경복궁 창건과 수난의 역사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1

경복궁 창건과 수난의 역사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경복궁 이야기 1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의 법궁(法宮)또는 정궁(正宮)이라 불리우며 조선 500년의 역사를 간직한 곳입니다. 5개의 조선 궁궐 중 으뜸이라하여 법궁(法宮) 또는 정궁(正宮)이라 불렀습니다.  조선의 궁궐은 경복궁 외에도 4개의 이궁(離宮)들이 있습니다. 그 4개의 이궁은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입니다. 임금이 경복궁에서 기거(起居)하시다가 천재지변, 화재, 전시 상황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임시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어져 이궁(離宮) 또는 별궁(別宮)이라고도 불렀습니다.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