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RTLOu7yadN7oUG9FLUTQm8Prgxd_JxvqhAI-GEX2qQ8

서촌(西村) 이름 유래 / 관광통역안내사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9


이름 유래

서촌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마을이다. 북촌한옥마을, 남산한옥마을과 함께 전통가옥들을 볼 수 있는 마을이다. 서촌은 사실 원래 존재했던 지명은 아니었다. 조선시대에는 장의동, 장동, 창의동 등으로 불렸다. 장의동, 장동, 창의동 모두 이 지역 일대의 유명한 사찰인 장의사(莊義寺)가 있어 붙여진 이름들이다. 그러다 비교적 최근인 2000년대에 들어 북촌(北村)이라는 지명이 널리 쓰이기 시작하면서 서촌(西村)이라는 이름도 함께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 둘다 모두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다. 북쪽에 있어서 북촌, 서쪽에 있어서 서촌이라고 붙여진 것이다.

마을 동쪽 경계에는 경복궁의 서쪽 문인 영추문
경복궁의 서쪽 문인 영추문(迎秋門)

동쪽으로는 경복궁, 서쪽으로는 인왕산, 남쪽으로는 사직단, 북쪽으로는 북악산 그 사이에 위치한 여러 동네들을 일컬어 서촌 마을이라고 한다. 경복궁의 서쪽에 위치한다하여 영조 임금(조선 후기)이 ‘서촌(西村)’이라 처음 표현했던 것이다.

마을의 전경. 오래된 전통 가옥들이 많다.
서울 도심 한 가운데에 전통 가옥들이 즐비해 있다



서촌은 긴 시간 동안 개발이 제한이 되었었다. 그 때문에 많은 전통 가옥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기도 하다.

오래되긴 했으나 작고 아기자기한 건물들이 방문객들로 하여금 유년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도시개발이 한창이던 60년대, 70년대 시절에도 이곳은 개발 제한이 걸린 덕분에 과거를 살았던 옛 사람들의 정취가 그대로 남아 있다.

조선시대 북촌(北村)마을은 경복궁에 인접해서 주로 궁(宮)에서 근무하던 고위 관료들이 모여 살았던 동네였다고 한다면, 이곳 서촌한옥마을에는 주로 예술가, 통역관, 의원 등과 같은 중인 계급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리고 현대로 넘어와서는 이육사, 윤동주, 이상 등 걸출한 민족주의 성향의 시인들과 소설가 김훈(칼의 노래 저자), 경영인 정주영 등도 모두이곳 출신들이다.

인왕산이 보이는 아름다운 서촌 마을
인왕산이 보이는 아름다운 서촌 마을



세종 마을

사실 서촌 마을의 통인동(통인시장이 있는 곳)은 세종대왕께서 태어나신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서촌마을을 ‘세종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세종대왕의 업적은 굳이 이 글에서 설명 안 하더라도 여러분들이 더 잘 아실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시게 만든 사건에 대해서 잠시 소개하고자 한다. 필자가 이순신 장군 다음으로 존경하는 인물이므로.

경남 진주에 살던 김화(金禾)라는 사람이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한 사건이 벌어졌다.

유교 사회에서 부모를 살해하는 것은 강상죄(綱常罪)라고 해서 임금에 대한 반역죄와 함께 아주 엄하게 다스렸던 죄였다. 그 형벌도 팔과 다리를 소나 말에 묶은 다음 사방으로 잡아 당겨 사지를 뜯어서 죽이는 이른 바 거열형(車裂刑)에 처해졌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그와 같은 존속 살해(尊屬 殺害) 사건이 심심찮게 신문과 뉴스에 등장하는 소재이지만 당시 조선에서는 꽤나 충격적인 사건이었던 듯하다. 세종대왕도 “내가 덕이 없는 까닭이로다.”라고 말씀하시며 스스로를 크게 자책하셨다고 한다.

세종대왕은 ‘김화 사건’과 같은 일이 백성들이 무지하여 글을 읽을 수 없고, 글을 읽을 수 없으니 삼강오륜을 모르는 것이라 판단했다. 이후로 세종대왕은 글을 모르는 백성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삼강오륜의 내용을 삽화를 넣어 설명하고 실제 있었던 아름다운 (?)사례들도 첨가하여 엮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 를 배포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많은 백성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할 필요성도 있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배우기도 어렵고 우리말 실정에도 맞지 않은 중국의 한자 대신에 우리만의 고유한 문자가 필요하다고 봤다. 그러한 연유에서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게 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이후 이곳 종로구는 왕이 계신 경복궁이 위치하여 행정, 문화, 상업 등의 중심지로 자리잡아왔다. 그리고 서촌은 종로에서도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우리 선조들이 남긴 흔적들을 고스란히 보전 되어 있기도 하다. 마을 구석구석에 숨은 그들의 소중한 발자취를 찾아 보는 것 또한 큰 재미거리가 될 것이다. 

고즈넉한 분위기의 서촌 마을
고즈넉한 분위기의 서촌 마을


✨제이든의 해설 시리즈 <경복궁의 창건과 수난의 역사> 👉🏿 읽으러 가기
✨제이든의 영어로 듣는 <서촌 한옥 마을> 해설 👉🏿 보러 가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