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복궁과 조선의 역사 개요
경복궁 창건과 수난의 역사는 조선의 건국과 같은 국가의 시작과 임진왜란이나 일제강점기와 같은 국가의 수난사와도 맥을 같이 한다. 나라가 세워졌을 때 함께 세워지고, 나라가 망했을 때 함께 무너졌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 500년의 법궁이자 왕실의 상징인 경복궁의 흥망성쇠에 관한 이야기를 함께 살펴보자.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의 법궁(法宮)또는 정궁(正宮)이라 불리우며 조선 500년의 역사를 간직한 곳입니다. 5개의 조선 궁궐 중 으뜸이라하여 법궁(法宮) 또는 정궁(正宮)이라 불렀습니다.
조선의 궁궐은 경복궁 외에도 4개의 이궁(離宮)들이 있습니다. 그 4개의 이궁은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입니다. 임금이 경복궁에서 기거(起居)하시다가 천재지변, 화재, 전시 상황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임시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어져 이궁(離宮) 또는 별궁(別宮)이라고도 불렀습니다.
경복궁의 창건(創建) 배경
1492년에 조선을 건국한 태조(太祖) 이성계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에서 왕위에 오른긴 했으나, 개경이라는 곳이 고려의 충신들이 많이 살았던 두문동(杜門洞)에서 가까운 곳이라 늘 찜찜하게 여겨 수도이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당시 고려(高麗)의 신하들 중에는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가 세워지는 것에 반대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고려의 마지막 충신들로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두문동에서 은거하며 벼슬도 마다하고 결코 세상 밖으로 나오는 법이 없었다. 그리하여 생겨난 사자성어가 두문불출杜門不出 이다.
한양 천도(遷都)와 경복궁터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와 신진사대부들은 새로운 수도로 삼을 만한 곳의 후보지로서 두 곳을 주로 거론하였습니다. 바로 한양과 무악 지역이었습니다. 당시 한양이라 함은 현재 광화문이 위치한 지역 일대를 일컬었으며, 무악은 현재의 신촌과 연희동 일대를 일컫는 곳이었습니다.
삼봉 (三峯) 정도전 (鄭道傳·1342∼1398)
유학을 공부한 신진사대부. 역성혁명을 주장하며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 데에 핵심적인 조력을 한 인물.

처음에 태조는 무악이 풍수지리학적으로 더 나은 길지로 보아 무악을 선호하였지만 정도전과 무학대사의 설득에 결국 한양이 수도로 결정되었습니다.

경복궁은 한양에 터를 잡아 1394년에 착공하여 이듬해인 1395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신진사대부이자 이성계의 브레인이었던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은 <시경>에 나오는 “군자만년개이경복(君子萬年介爾景福) – ‘군자가 만년 그대에게 큰 복을 도우리라!'”에서 나오는 경복(景福)이라는 구절을 따 경복궁(景福宮)이라 이름을 지었습니다. 조선 500년의 역사와 함께 하며 조선의 건국의 상징이자 조선왕조의 상징인 경복궁이 한국 역사에 등장하는 순간이었습니다.
경복궁 수난(受難)의 역사
임진왜란(壬辰倭亂)의 발발(勃發)과 경복궁 소실(消失)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당시 조선의 왕 선조(宣祖)는 현재 북한과 중국의 경계 지역인 의주(현재의 신의주시 지역)까지 피난을 가버리고 맙니다. 자신들을 내버려두고 도망을 간 임금에 대한 분노로 백성들은 경복궁에 불을 질러 완전히 소실 되고 맙니다. 그렇게 1592년 임진왜란의 발발과 함께 소실된 경복궁은 폐허로 방치 되다가 1865년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세도정치를 종식시킬 의도로 경복궁 재건사업(再建事業)을 추진하게 됩니다. 그렇게 1868년 경복궁은 완공되어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 그의 아들 고종(高宗)은 일본이 다시 침략하기 전까지 경복궁에서 기거(起居)하게 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경복궁의 수난의 역사
일제강점기(1910년 ~ 1945년) 동안 일본은 조선 왕실의 권위를 실추 시키고 민족정신을 말살 시킬 목적으로 경복궁의 대부분을 파괴하였습니다. 일제는 경복궁의 전각들을 이유없이 파괴하거나 돈을 받고 팔 목적으로 해체함으로써 전체 전각의 90%가 파괴 되었습니다. 세자(차기 임금으로 책봉된 왕자)와 세자빈의 처소로 쓰였던 자선당(資善堂)의 경우 건물 전체가 일본으로 반출 되는 수난사를 겪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원래의 경복궁의 규모에 비해 겨우 일부분만이 복원이 된 상태입니다. 한국정부는 앞으로도 2045년 까지 경복궁을 복원할 계획이다.
✨️제이든의 경복궁 해설 유튜브 영상(영어 해설 & 한글 자막) 👉 보러가기
✨️제이든이 들려주는 한국 전래동화 시리즈 2 : 금도끼 은도끼 👉 읽으러 가기